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복사모델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복사(Radiation)이란
1. 전자기파에 의한 에너지 방출
(1) 물체가 0 K 이상일 때 에너지를 방출하고 흡수
(2) 복사재료 물성은 스팩트럼에 따라 다름
(3) 진공에서도 복사 발생
2. 복사의 효과는 대류와 전도의 열전달률과 유사하거나 큰 값을 가질때 고려해야함
지배 방정식(Governing Equation)
1. 에너지 방정식
- Srad는 복사항의 source term을 의미함
2. 복사 전달 방정식 (Radiative transfer Equation
- 복사 강도는 방향성이 있으며 공간에 의존적임
OpenFOAM 내 복사모델 종류
1. P1 모델
2. fvDOM(finite volume Discrete Ordinates Model)
- 각도수 만큼 복사 전달 방정식을 해석
복사 모델 결정
1. Optical thickness의 크기로 복사 모델 결정
( Optical thickness가 큰 경우 복사열을 흡수하고 재방출하는 것을 고려해야함)
(1) Optical thickness >> 1 이상인 경우 P1 model 사용
1) 이점
- 다른 모델에 비해 해석시간이 적음
- 산란 효과 고려 가능 ( particle, soot, droplet etc)
- Optical thickness가 큰 경우 정확한 복사효과를 예측 가능
2) 단점
- 모든 표면에서 확산된다고 가정
- Optical thickness가 작은 경우 heat flux 과대 예측
(1) Optical thickness < 1 이상인 경우 fvDOM model 사용
1) 이점
- 가장 포괄적인 복사 모델 (산란, 반두명 매체, 거울 표면, 회색 표면 등을 표현)
2) 단점
- 각 방향의 복사 전달 방정식을 해석하므로 해석 시간이 오래걸림
2. viewFactor 모델의 경우 매질이 없는 경우 사용 ( space craft, solar radiation)
결론
오늘은 OpenFOAM 내 복사모델에 대해 알아봤어요.
다음에는 복사를 이용한 해석에 대해 알아볼게요.
오늘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댓글로 부탁드려요.
이미지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택이5 All rights reserved
'OpenFOAM Heat Transf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upled region을 이용한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0) | 2024.08.01 |
---|---|
OpenFOAM 복합열전달 해석에서 외부벽열전달 경계조건 설정 (2) | 2024.07.24 |
OpenFOAM 내 복합열전달 해석 case 구조 설명 chtMultiRegionFoam (0) | 2024.07.03 |
OpenFOAM 내 복합열전달 정상상태 해석 chtMultiRegionSimpleFoam (0) | 2024.07.02 |
압축성 열전달 정상상태 해석 buoyantSimpleFoam (0) | 2024.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