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coupled region과 일반해석을 비교하려 해요.
coupled region과 일반해석을 비교
1. 해석버전 : OpenFOAMv2312
2. 해석솔버 : chtMultiRegionSimpleFoam
(1) 설명
1) 부력, 난류 유동 및 고체 열전도를 해석하는 솔버
2) Multiple Reference Frame(MRF), 다공성 모델, passive scalar transport equation, 소스항 적용 가능
3) 열교환기 성능 및 HVAC 시스템, 전자제품 냉각 해석에 주로 쓰임
3. tutorial 경로 : openfoam2312/tutorials/heatTransfer/chtMultiRegionSimpleFoam/cpuCabinet
4. 해석격자 : snappyHexMesh
5. 폴더 구조
6. 해석 조건
(1) 난류모델 : realizableKE 모델
(2) 유체물성 및 경계조건 : domain0, fin, CPU 이전 해석과 동일한 물성 적용
해석 결과
결론
오늘은 OpenFOAM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coupled region과 일반해석을 비교해 보았는데요.
(1) 비슷한 경향의 온도결과를 가지며 최고 온도 8K이 차이를 보임
(2) 해석시간 : 같은 iteration에서 비교 했을때 1분내 차이로 비슷한 해석시간을 가짐
(3) 병렬을 진행할 때 일반의 경우는 맞닿는 면이 잘려도 해석 가능하지만 coupled region의 경우 맞닿는 면이 잘리면 병렬해석 불가능
두 해석의 차이는 비슷하며 병렬진행시 확인해야해요.
오늘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댓글로 부탁드려요.
이미지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택이5 All rights reserved
'OpenFOAM Heat Transf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FOAM 내 Joule heating을 고려한 복합열전달 해석 (0) | 2024.08.23 |
---|---|
OpenFOAM 내 태양열 복사모델을 고려한 복합열전달해석 (0) | 2024.08.19 |
coupled region을 이용한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0) | 2024.08.01 |
OpenFOAM 복합열전달 해석에서 외부벽열전달 경계조건 설정 (2) | 2024.07.24 |
OpenFOAM 내 복합열전달 해석 case 구조 설명 chtMultiRegionFoam (0) | 2024.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