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Joule heating을 고려한 복합열전달 해석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joule heating은 도체에 흐르는 전위를 통해 발열되어 온도 변화를 해석하는 문제인데요.
난방기, 덕트가열기, 파이프가열기, 금속터빈, 교반가열, 오븐 등에 사용되고 일반 대기에서 뿐 아니라 진공상태에서도 가열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요.
Joule heating 해석 형상
front와 back의 면은 empty 경계조건으로 2D 해석 진행했어요.
1. Electric potential 및 thermal source 방정식
Joule heating 해석 예
1. 해석버전 : OpenFOAMv2312
2. 해석솔버 : chtMultiRegionSimpleFoam
3. 튜토리얼 경로 : /tutorial/heatTransfer/chtMultiRegionSimpleFoam/jouleHeatingSolid
3. 해석격자 : blockMesh
4. 해석조건
(1) 물성 : constant
1) molWeight : 12
2) thermal conductivity : 200 W/m K
3) specific heat : 700 J/kg K
4) density : 8000 kg/m3
(2) 경계조건
1) electrical potential(V) : left (1.5 V), right(0V) -> 0/solid 폴더에 jouleHeatingSource:V 에 적용
2) electrical conductivity(sigma) : 127599.8469 S/m -> 0/solid 폴더에 jouleHeatingSource:sigma에 적용
3) 온도 : left (500K), right( 500K )
4) joule heating 설정
- system/solid/fvOption 파일을 이용하여 설정
5. 해석결과
결론
오늘은 OpenFOAM 내 Joule heating을 고려한 복합열전달 해석에 대해 알아봤어요.
gnuplot을 사용하여 analytical solution과 OpenFOAM 결과를 비교했을 때 일치함을 보였어요.
Joule heating이 고려된 히터 문제를 해석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 같아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댓글로 부탁드려요.
이미지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copyright ⓒ 택이5 All rights reserved
'OpenFOAM Heat Transf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FOAM 내 태양열 복사모델을 고려한 복합열전달해석 (0) | 2024.08.19 |
---|---|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coupled region과 일반해석 비교 (0) | 2024.08.02 |
coupled region을 이용한 복합열전달 공기냉각 정상상태해석 (0) | 2024.08.01 |
OpenFOAM 복합열전달 해석에서 외부벽열전달 경계조건 설정 (2) | 2024.07.24 |
OpenFOAM 내 복합열전달 해석 case 구조 설명 chtMultiRegionFoam (0) | 2024.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