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OpenFOAM basic/Basic concepts and theories9

OpenFOAM 내 solver control - simple, pimple algorithm - 안녕하세요오늘은 OpenFOAM에서 압력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 해요. OpenFOAM solver control OpenFOAM에서 압력을 해석 하는 방법으로는 총 3가지가 있어요. 1. SIMPLE Algorithm : Semi-Implicit Method for Pressure-Linked Equations의 약자로 정상상태 해석과 Relaxation factor로 압력을 구하는데 사용돼요. 2. PISO Algorithm : Pressure Implicit with Splitting Operator의 약자로 비정상상태 해석을 할 때 사용돼요.3. PIMPLE Algorithm : SIMPLE 과 PISO가 결합된 방식으로 비정상상태 해석을 할때 사용되고 SIMPLE Alorithm의 특징.. 2025. 2. 13.
OpenFOAM 내 병렬실행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병렬실행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병렬 실행 방법 소개 해석을 진행하기 위해 형상을 나눠주고 mpirun을 사용하여 병렬해서을 진해야해요. constant/polyMesh/bounday 파일에서 type processor로 경계조건이 적용돼요. decomposePar 설명 병렬을 실행하기 위해 먼저 형상을 나눠줘야해요. system/decomposeParDict 파일 안의 내용을 보면 1. numberOfSubdomains : 총 병렬 진행 개수를 설정해줘요. 2. method : 병렬 나눠지는 방법을 설정해줘요. (1) method 종류 : simple, scotch, hierarchical , multiLevel, kahip, manu.. 2024. 7. 30.
OpenFOAM 압축성 비정상상태해석 무반사 경계조건 설정 (waveTransmissive)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압축성 비정상상태 해석 무반사 경계조건 설정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무반사 경계조건(waveTransmissive) 무반사 경계조건(waveTransmissive)은 비정상상태 해석에만 적용 가능해요. 1. 해석버전 : OpenFOAMv2312 2. 경계조건 이름 : waveTransmissive 3. 설명 : 출구경계조건으로 시간에 따른 wave velocity와 경계조건을 적용한 경계조건 (1) wave velocity 계산식 (2) 사용 예 1) 경로 : openfoam2312/tutorials/compressible/rhoPimpleFoam/RAS/aerofoilNACA0012/0.orig/p 2) psi : comp.. 2024. 7. 26.
OpenFOAM 내 자동격자 설정 및 실행 2 (snappyHexMesh)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자동격자(snappyHexMesh) 설정 및 실행 2번째 시간이에요. 이번에는 snappyHexMeshDict 파일에 대해 알아볼게요.snappyHexMeshDict 파일 설정 튜토리얼에 snappyHexMeshDict 파일을 살펴볼게요. snappyHexMeshDict 파일은 6개의 큰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1. castellatedMesh, snap, addLayer의 스위치가 있구요. 2. geometry는 snappyHexmeshDict 내에 쓰이는 stl파일면의 이름을 지정해 주고 특정 부분에 작은 격자를 생성하기 위한 volume의 위치를 지정해 줘요. 3. castellatedMeshControls에요. castellat.. 2024. 6. 7.
OpenFOAM 내 자동격자 설정 및 실행 1 (snappyHexMesh)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자동격자(snappyHexMesh) 설정 및 실행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요. OpenFOAM에는 두 가지의 격자 생성 방법이 있는데요. 첫 번째는 blockMesh를 이용하여 간단한 격자를 생성하는 방법이구요. 두 번째는 stl파일 형상을 이용하여 자동격자를 생성하는 snappyHexMesh가 있어요. 오늘은 두 번째 방법인 snappyHexMesh 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해요. snappyHexMesh 정의 snappyHexMesh는 실제 형상을 해석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격자 생성 명령어에요. snappyHexMesh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형상 파일인 stl 또는 obj 파일이 필요해요. 형상 파일을 기준으로 Hex-dominant .. 2024. 6. 5.
OpenFOAM 내 기본 격자 (blockMesh)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내 기본격자(blockMesh) 설정 및 실행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요. 격자는 CFD를 진행하는데 기본이고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격자를 해석에 맞게 잘 생성했는냐 그렇지 못했느냐에 따라 해석 결과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에요. OpenFOAM에는 두가지의 격자 생성 방법이 있는데요. 첫번째는 blockMesh를 이용하여 간단한 격자를 생성하는 방법이구요. 두번째는 stl파일 형상을 이용하여 자동격자를 생성하는 snappyHexMesh가 있어요.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blockMesh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해요.blockMesh 정의 blockMesh는 간단한 fully structured hexhedral 격자를 생.. 2024. 6. 1.
OpenFOAM system 폴더 파일 설명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system 폴더 내 파일들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요. constant 폴더 내 파일이 격자정보 및 재료의 물성, 난류모델, 연소반응, 입자조건 등의 물리적 모델에 대한 파일들이 모여 있다면 system 폴더는 해석시간 및 결과저장, function Objects, 지배방정식의 이산화방법, 이산화된 방정식의 행렬 계산 방법을 설정하는 파일들이 모여 있어요. 오늘은 system 폴더 내 파일 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 해요.​system 폴더 내 파일 1. controlDict 파일 해석시간 및 결과 저장, function Object 설정하는 파일 OpenFOAM 튜토리얼에 incompressible/icoFoam/cavity의 파일을 예로 설명.. 2024. 5. 30.
OpenFOAM 경계조건 종류 및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의 종류와 설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요. CFD를 하는 데 있어서 경계조건은 참 중요한데요. 경계조건에 따라 해석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 또 확인을 해야 하죠. 경계조건의 종류 OpenFOAM의 경계조건에는 1. Base type, 2. Primitive type, 3. Derived type 총 3가지가 있어요. 경계조건 설정 Base type의 경계조건은 가장 기초가 되는 경계조건인데요. constant/polyMesh/boundary 파일에서 각 경계조건에 따라 설정을 하게 돼요. 위 그림은 constant/polyMesh/boundary 파일 내용인데요. .. 2024. 5. 29.
OpenFOAM case 구조 설명 안녕하세요 오늘은 OpenFOAM Case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려고 해요.OpenFOAM으로 CFD 해석을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OpenFOAM Case 구조를 이해하는 것인데요.OpenFOAM의 구조는 위 그림과 같이 0, constant, system 폴더로 이루어져 있어요. 0 폴더 속도, 압력, 온도, 난류변수(ex> k, epsilon, omega) 등의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을 설정 constant 폴더 1. 유체의 물성 설정 - 밀도, 비열, 점성 등의 유체의 물성 설정 ex> physicalProperties 2. 물리적 모델 설정 - 난류, 입자, 복사 모델 등 물리적 모델 설정 ex> momentumTransport, radiationProperties .. 2024. 5. 28.
728x90
반응형